로그인 | 처음으로 | 기사입력 | 리포터(선교기자) 가입 | KCM 홈
 
   특별호 12호 바이블 웨이 [05-08]
   제375호 [05-07]
   제374호 [10-30]
속보(긴급기도제목)
선교현장
선교소식
선교단체
푸른섬선교정보
AFMI
교계, 문화
오피니언
목회, 신학
청년, 대학생
기획, 특집
포토/동영상
해외한인교회
선교학자료
해외일반
한국일반
주앙교회
미션매거진을 만드는 사람들...
facebook 미션매거진 편집회의
* 3715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포토/동영상]베트남 하롱베이(Halong bay)
[선교학자료]실크로드 vs 바이블로드의 부활을 위한 -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지역에서의 인터콥의 역할과 비전
I. 도입: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실크로드(Seidenstrassen)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유명한 지리학자 리히트 호펜(Richtofen, 1877)이다. 이 용어는 이후에 같은 독일의 여가학자 알버트 헤르만과 스웨덴 탐험가 스벤 헤딘, 영국의 탐험가 오렐 스타인 등과 같은 서구인들에 의해 사용되면서 일반인에게 자리 잡게 되었다. 유라시아의 중앙부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유사 이래 카라반(隊商)에 의한 동서교역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바로 이 중앙아시아를 통과하여 중국과 유럽을 잇는 실크로드는 동서교역이 중심축이 되어왔다. 1980년대 말 UNESCO가 주도하는 실크로드 연구가 국제적으로 활발히 일어나면서 실크로드는 국제사회에...
[선교학자료]실크로드 vs 바이블로드의 부활을 위한 - 지피(GP)선교회의 전방개척선교와 실크로드 전략
지피선교회(Global Partners)는 현재 24개국에서 214명의 선교사들이 24개국에서 사역하고 있다. 중점적인 사역지는 지난 30년 동안 일하고 있는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가 주력을 이루고 있으나, 지난 14년 전부터 사역을 시작한 중국에서도 현재 42명의 사역자들이 일하고 있다. I. 기본에 철저한 선교 지피선교회는“마지막시대에 선교를 이끄는 공동체로서 창의적 선교전략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여 현지지도력을 개발함으로 지구촌을 신속히 복음화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라고 그 사명을 선언하고 있다. 마지막 시대에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협력을 하지 않고 이룰 수 없다는 ...
[선교학자료]세계경제 흐름 속에서 본 중앙아시아 선교와 미래전망
이준환 교수 Ⅰ. 서론 “중앙아시아”란 단어를 떠 올리면, 대부분 이 글을 읽는 독자들께서는 학창 시절에 역사, 인문, 지리 시간에 배웠던 즉, 낙타를 타고 사막을 지나는 대상들의 낭만적이고 친근한 무역로였던 비단길(SILK ROAD)”이란 단어가 제일 먼저 머리 속에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스컴과 인터넷 매체 그리고 각종 책자 등을 통하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각 지역에, 1937년 구소련 당시 공산당 서기장이었던 스탈린에 의한 중앙아시아 지역으로의 강제 이주를 당한 소수 민족 박해 정책의 최대 희생자였던 우리의 핏줄이며, 조국 독립의 애국 애족의 후손들이었던 까레이스키 즉, 고려인들이 존재 ...
[선교학자료]실크로드 vs 바이블로드의 부활에 있어 실크로드 지역에서의 -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의 역할과 전망
Ⅰ. 서론 작년 12월에 개최된 “2005 방콕 중앙아시아 컨설테이션” // (2005년 12월 6일-10일까지 세계한인선교사회(WKMF) 중앙아시아 지역 회 주최로 방콕에서 개최된 제 1회 선교 전략 회의(필자 주) // )은 한인선교사들로는 초유의 사건, 즉 17명의 중앙아시아 시니어 선교사들이 발제를 하고 세계적인 신학자들과 전문 이슬람 학자 그리고 선배 선교사 등 약 15명의 응답과 토론으로 이루워진, 참으로 감격스러웠던, 알찬 대회가 아니었나 회고해 본다. 그러나 당시 전문 이슬람 여성 학자이신 전재옥 박사께서 본 대회에서 “중앙아시아라는 지역과 그곳 이슬람에 관하여는 상당히 무지한 상황 이었다”고 말한 것과 같이, 함께 참석하...
[선교학자료]실크로드 지역의 이슬람과 삼중 네트워크의 중요성
탁수연 선교사 (중동 선교사 협의회 회장) Ⅰ. 들어가는 말 1989년 누구도 예상하거나 짐작하지 못한 구소련의 공산주의 몰락으로 세계는 이제 더 이상 이념의 문제로 더 이상 갈등을 겪지 않게 되었고 21세기는 각 나라와 민족의 다양한 문화에 의하여 인류를 분열시키고 더 나아가 전쟁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교 간의 갈등으로 인한 문명 충돌이 일어 날 것이라고 우려들의 목소리와 함께 그렇지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21세기는 문명이 서로 공존하며 갈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의견들로 인하여 21세기 초 벽두부터 문명 간의 갈등의 이슈는 뜨거운 주제 중의 하나이다. ...
[선교학자료]실크로드 vs 바이블로드의 역사와 회복 및 전망에 대한 응답
조효근 목사님의 좋은 논문에 응답하기 전에 “실크로드”라는 단어의 배경을 먼저 보기를 원한다. 초대교회로부터 중세기교회의 중동지역과 중앙아시아와 중국에 이루기까지의 선교사역은 실크로드를 사용하여 이루어 졌기 때문에 이 실크로드를 바이블로드로 말할 수 있다. 실크로드 단어의 배경은 중국대륙 맨 끝 서부에 있는 신강성이라는 광대한 지역이 있는데 위구르 (Uighur)종족인 자치국이 있다. 이곳에서 두개의 유명물이 생산되는데 하나는 6,000 미터 (2000 feet)의 높은 금란산맥에서 옥석(Jade Stone)이 발견 되어 중국수도 북경으로 수출 되였다. 둘째로 금난산 남쪽에 유티엔(Yutien)이라는 곳에 실크공장을 설치하여 아름다운 ...
[선교학자료]실크로드 vs 바이블로드의 역사와 회복 및 전망
인류 역사의 중요 길목이 열리는 때가 왔다. 이는 동과 서, 또는 아시아와 유럽의 대결이 이루어지는 그때였다. 아시아의 거대한 페르시아와 마케도니아의 무모한 젊은 영웅 알렉산더의 충돌은 동서양 운명의 갈림길이 되었다. 알렉산더. 그의 부친 필립 왕이 닦아 놓은 터전 위에서 제국의 꿈을 꾸는 영웅이었다. 세계 역사상 군사전략에서는 위대한 천재로 평가되는 그는 유럽과 아시아를 통합하겠다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이 뜻을 이루었다. 군사전략가이고 점령군주인 알렉산더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다. 그가 마케도니아 왕위 계승자로 있을 때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가정교사였다. 일화에 의하면 알렉산더는 전쟁터를 ...
[선교학자료]실크로드를 바이블로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합의 실천적 과제
프롤로그: 실크로드를 돌파한 올리비에와 네스토리우스처럼 나는 최근 ‘베르나르 올리비에’라는 프랑스 사람이 이스탄불에서 중국의 시안(西安)까지의 ‘실크로드’ 1만 2천 킬로미터를 걸어가는 도보(徒步)여행을 해낸 라는 책을 읽은 일이 있다. 독일의 시인 하이네는 인간의 여행길이 철도를 통한 기차여행으로 바뀌게 된 1843년, “철도를 통해 공간이 살해됐다!”고 울부짖었다. 그 후에 자동차 시대가 열리더니 20세기 초반부터는 비행기 여행시대로 바뀌어 버렸다. 총알 같은 초고속 철도여행이 인간을 자연공간으로부터 분리시켜버리고 비행기 여행은 더욱이나 사람을 땅에서 공중으로 떠올려 전혀 새로운 땅으로 옮겨놓아 버린다....
[선교현장]볼리비아에서 장형식, 황정숙 선교사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감사의 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기도의 동역자들께서 잊지 않고 기도해 주시기 때문에 감사의 일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먼저 감사할 것은 에스페란사 교회의 헌당예배를 2월1일 오후에 드렸습니다. 한국에서 은평교회의 김명규 목사님과 사모님 그리고 교단 신문사의 편집국장이신 장남운 국장께서 방문해 주셔서 현지의 선교사님들과 교포 그리고 저희 교회의 교우들과 함께 헌당예배를 드렸습니다. 당일 오후 2시30분에 도착해야할 김 목사님 일행이 볼리비아의 정치적 상황이 복잡해 헌당예배 시간인 오후 8시에 도착하지 못하고 오후10시에 도착하는 바람에 많은 분들께서 오랜 시간 기다렸지만 예정된 헌당예...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260]다음
관리자 모드TOP